티스토리 뷰

반응형

1. 국채 매도 또는 축소 → 미국 금리에 압박

  • 중국이 미국 국채를 대규모 매도하면 → 미국 국채 수요 감소 → 금리 상승 압력
  • 미국 입장에서는:
    • 정부 차입비용(이자) 증가
    • 금융시장 불안
    • 주식시장 하락
    • 경기 둔화 가능성 증가

즉, 미국의 금융안정성에 심리적 압박을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.

2. 시장에 불신 심기

  • "중국이 미국을 믿지 않고 국채를 팔기 시작했네?"
    →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심리적 경고 신호가 됩니다.
  • 그 결과:
    • 다른 나라 중앙은행들도 미국 국채 분산을 고려
    • 달러 약세 압력
    • 글로벌 자금이 미국에서 이탈할 수도 있음

3. 위안화 중심 블록 구축

  • 중국은 달러 의존 탈피(Reduce dollar dependency)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.
  • 브릭스(BRICS) 중심으로 위안화 결제를 늘리고, 위안화 채권시장 개방, 금 보유 증가 등도 병행 중입니다.
  • 이는 미국의 달러 패권에 대한 도전이자, 미국 금융 제재에 대한 방어 전략입니다.

4. 지정학적 협상 카드로 활용

  • 무역 분쟁, 대만 문제, 반도체 규제 등에서 **"우리 국채 팔 수 있어"**는 암묵적 협박처럼 작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실제로 중국은 공개적으로 협박하지는 않지만, 미국 재무부나 월가에서는 중국의 보유량 변화를 긴장감 있게 관찰합니다.

실제 사례: 이런 움직임이 보인다

시기중국의 행동미국 반응
2018~2019 미중 무역전쟁 격화 중국 국채 보유량 지속 감소 → 미국 장기 금리 상승
2022~2024 미국의 반도체·AI 제재 강화 중국 국채 보유량 1조 달러 → 약 7천억 달러로 감소
2024~2025 위안화 국제화 가속 중국, 미국 국채 외 금, 위안화 자산 비중 확대 중

요약 정리

중국은 미국 국채를 단순한 금융 상품이 아니라,

지정학적 협상 테이블 위의 카드로 사용 중입니다.
그 영향력은 미국의 금리, 달러, 시장 안정성까지 직접적으로 미칩니다.

 
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
반응형